무한도전 레전드 영상을 보다 문득 궁금해진 우리나라 결혼 비율을 포스팅해봤다.
우선 이 자료는 2022년 혼인·이혼 통계이다. 2022.1.1 ~ 12.31까지 전국의 시·구청 및 읍·면사무소에 신고한 혼인신고서와 이혼신고서를 기초로 작성한 결과이다.
통계결과는 혼인신고서의 내용을 집계한 결과이므로 사실혼과는차이가 있을 수 있음.
-혼인‧이혼 통계의 혼인‧이혼 일자는 신고서의 신고일을 의미하며, 혼인‧이혼의 실제 발생일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음.
-특정연도 이혼건수를 혼인건수로 나눈 수치는 이혼율이 아니며, 특히 ‘혼인 몇 쌍 중 몇 쌍이 이혼’과 같이 표현하지 않도록유의 바람.
- 일부 통계표 수치는 반올림한 값으로 하위분류의 합이 상위분류의값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음.
1. 혼인건수
- 2022년 혼인건수는 19만 2천 건으로 전년도보다 0.4% 감소, 조혼인율은 3.7건으로 0.1건 감소했다.
(조혼인율이란 : 1년간에 발생한 총 혼인건수를 당해 연도의 주민등록 연앙(7월 1일)인구로 나눈 수치를 1,000분비로 나타낸 것으로 인구 1천명당 혼인건수를 의미한다.)
- 2012년부터 2022년까지 혼인건수는 확실히 줄어들었다는 것을 한눈에 볼 수있다.
2. 종류[초·재혼]별 혼인
-남녀 모두 초혼인 부부는 전체 혼인의 77.4%, 남녀 모두 재혼은 12.3%를 차지한다.
○ 남자의 경우 전체 혼인 중 초혼이 83.5%, 재혼이 16.3%임. - 전년대비 초혼은 0.7% 감소, 재혼은 0.5% 증가함.
○ 여자의 경우 전체 혼인 중 초혼이 81.4%, 재혼이 18.3%임. - 전년대비 초혼은 0.3%, 재혼은 1.7% 각각 감소함.
○ 남녀 모두 초혼은 77.4%, 남녀 모두 재혼은 12.3%를 차지함. - 남자 재혼+여자 초혼은 전년대비 증가(4.3%)하였으나 나머지는 감소함.
3. 혼인연령
-평균초혼연령은 남자 33.7세로 0.4세 상승, 여자 31.3세로 0.2세 상승했다. (확실히 과거에 비해 연령이 많이 늘었다.)
○ 평균초혼연령은 남자 33.7세, 여자 31.3세로 전년에 비해 남자는 0.4세, 여자는0.2세 상승함.
- 남녀 간의 평균초혼연령 차이는 2.5세로 전년에 비해 0.2세 증가함.
- 10년 전에 비해 남자는 1.6세, 여자는 1.9세 각각 상승함.
○ 평균재혼연령은 남자 51.0세, 여자 46.8세로 전년에 비해 남자는 0.4세, 여자는0.3세 상승함.
- 10년 전에 비해 남자는 4.4세, 여자는 4.5세 각각 상승함.
초혼 부부 중 여자 연상 부부는 19.4% 차지, 전년보다 0.2%P 증가했다. |
○ 연령차별 초혼 건수는 남자 연상 부부는 9만 5천 건, 동갑 부부는 2만 4천건, 여자 연상 부부는 2만 9천 건임.
- 전년대비 남자 연상 부부(-0.4%), 동갑 부부(-2.9%)는 감소하였으나 여자 연상 부부(0.6%)는증가함.
○ 초혼 부부 중 남자 연상 부부는 64.4%, 여자 연상 부부는 19.4%, 동갑 부부는16.2%를 차지함.
- 전년보다 남자 연상 부부 비중은 0.1%p, 여자 연상 부부 비중은 0.2%p 증가. - 동갑 부부 비중은 16.2%로 전년보다 0.4%p 감소함.
○ 연령차별 혼인 비중은 남자 1~2세 연상(25.5%)이 가장 많고, 남자 3~5세연상(25.0%), 동갑(16.2%), 여자 1~2세 연상(13.1%) 순으로 많음.
4. 성·연령별 혼인
-남자의 연령별 혼인율은 30대 초반이 1천 명단 40.3건으로 가장 높다.
○남자의 연령별 혼인건수는 30대 초반(6만 8천 건, 35.7%), 20대 후반(3만 8천 건, 19.6%), 30대 후반(3만 6천 건, 18.9%) 순으로 많음.
-여자의 연령별 혼인율은 30대 초반이 1천 명단 41.3건으로 가장 높다.
○여자의 연령별 혼인건수는 30대 초반(6만 4천 건, 33.5%), 20대 후반(5만 9천 건, 30.8%), 30대 후반(2만 5천 건, 12.9%) 순으로 많음.
5. 외국인과의 혼인
-외국인과의 혼인은 1만 7천건으로 전년대비 27.2%(4천건) 증가했다.
○ 외국인 여자와의 혼인은 1만 2천 건으로 전년대비 33.6% 증가함.
○ 외국인 남자와의 혼인은 5천 건으로 전년대비 13.2% 증가함.
-외국인의 국적은 어디가 많을까?
○외국인 아내 국적은 베트남(27.6%), 중국(19.0%), 태국(16.1%) 순이다.
○외국인 남편 국적은 미국(29.6%), 중국(16.1%), 베트남(12.6%) 순이다.
6. 시도별 혼인
-조(組)혼인율은 세종(4.4건). 제주(4.0건), 경기(4.0건)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.
○ 시도별 혼인 구성비는 경기(28.3%), 서울(18.7%), 인천(5.7%) 순으로 높음.
○ 혼인건수는 전년대비 부산(-4.2%), 서울(-3.4%) 등 8개 시도는 감소, 충북(5.2%), 대전(4.5%) 등 9개 시도는 증가함.
○ 조혼인율은 세종(4.4건), 제주(4.0건), 경기(4.0건) 순으로 높으며, 전북(3.0건), 경북(3.1건), 대구(3.2건) 순으로 낮음.
-평균초혼연령은 남녀 모두 서울이 가장 높았다. 반면, 충북이 가장 낮았다.
○ 남자의 평균초혼연령은 서울 34.2세로 가장 높고, 충북 33.2세로 가장 낮음.
○ 평균재혼연령은 서울 52.8세로 가장 높고, 울산 49.9세로 가장 낮음.
○ 여자의 평균초혼연령은 서울 32.2세로 가장 높고, 충북 30.6세로 가장 낮음.
○ 평균재혼연령은 서울 49.4세로 가장 높고, 광주 45.8세로 가장 낮음.
-전체 혼인 중 외국인과의 혼인 비중은 전녀대비 모든 시도에서 증가했다.
7. 월별 혼인
(나는 당연히 가장 날이 좋은 봄, 가을이 많을 줄 알았는데..)
2022년 월별 혼인건수는 12월(10.4%), 11월(9.1%), 5월(8.9%) 순으로 많았다. 반면 9월(7.7%)로 가장 적었다. (왜 나는 9월, 3~4월에 가장 많이 축의금을 낸 거 같지..?라는 생각을 했다.) |
통계수치를 보며 우리나라 혼인 비율에 대해 알아보았다.
다음 포스팅은 우리나라 이혼 비율에 대해 작성해 보려한다.
'생활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제52회 전국소년체육대회 대진표 및 경기일정 안내 (3) | 2023.05.17 |
---|---|
우리나라는 결혼 · 이혼 얼마나 할까?(2편 대한민국 이혼 통계) (5) | 2023.05.15 |
저금리 신혼부부전용 주택구입자금 대출(연 1.85% ~ 2.7%, 주택도시기금) (10) | 2023.05.13 |
6월 시행! 이사할 때 이거 모르면 벌금 최대 100만원.(임대차 신고제, 전월세 신고제) (15) | 2023.05.12 |
스포츠 심리학 (4) | 2023.05.11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