물가가 치솟은 요즘.
과연 나를 포함한 대한민국 직장인들의 평균 연봉은 얼마일까???.. (안오른것은 내 연봉뿐일까?)
통계청 자료를 근거로 한번 살펴보자.
(다음자료는 2021년 소득을 통계로 낸 것 이다. 2022년도는 다음해에.)
1. 소득분포
□ ’21년 12월 임금근로일자리에서 일한 근로자의 평균소득은 333만원으로 전년 대비 4.1%(13만원) 증가하였고, 중위소득은 250만원으로 전년 대비 3.3%(8만원) 증가함.
(여러분은 어떠신가요?)
<용어정리>
평균소득 : 소득 합을 전체 수로 나눈 값
중위소득 : 모든 가구를 소득 순서대로 세웠을때, 정확히 중간에 있는 가구의 소득을 의미함. 이는 통계층이 발표하는 가계동향조사를 토대로 하며 전년도 중위소득 수치에 과거 평균 증가율을 적용해 결정.>
기준중위소득은 각 %에서 1인가구~6인가구까지 소득을 기준으로한다. 마지막에 소득기준계산기 링크를 첨부할테니 참고바람.
1) 빈곤층 : 기준 중위소득 50%이하
2) 중산층 : 기준 중위소득 50%~150%
3) 상류층 : 기준 중위소득 150% 초과
2. 기업 특성별 소득
□ (조직형태별 평균소득) 회사법인(375만원), 정부·비법인단체(338만원), 회사이외법인(334만원), 개인기업체(196만원) 순이며, 모든 조직형태에서 평균소득이 증가함.
[물가가 너무 올라 느끼지 못하는걸까..?]
□(기업규모별 평균소득) 대기업(563만원), 비영리기업(335만원), 중소기업 (266만원) 순이며, 대기업(6.6%)의 증가율이 가장 높음.
◇ 남녀 모두 대기업(남 639만원, 여 397만원)의 평균소득이 가장 높음. □ 남자 근로자의 평균소득은 대기업(639만원)에서 가장 높고, 비영리기업(435만원), 중소기업(297만원) 순. ㅇ 여자도 대기업(397만원), 비영리기업(268만원), 중소기업(214만원) 순. |
[역시 대기업.. 부럽다]
◇ 대기업의 평균소득은 50대(729만원)에서 가장 높은 반면, 중소기업은 40대(311만원)에서 가장 높음. □ 대기업 근로자의 평균소득은 50대(729만원), 40대(698만원), 30대(531만원) 순이며, 중소기업은 40대(311만원), 50대(291만원), 30대(282만원) 순. ㅇ 50대까지 연령층이 높아질수록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차이가 커지며, 50대는 대기업 평균소득이 중소기업의 약 2.5배임. □ 비영리기업의 평균소득은 40대(425만원), 50대(422만원), 30대(365만원) 순. |
□ (종사자규모별 평균소득) 300명 이상(451만원), 50~300명 미만(329만원), 50명 미만 (245만원) 순이며, 300명 이상(5.4%)의 전년 대비 증가율이 가장 높음.
□ (산업별 평균소득) 금융·보험업(726만원)이 가장 높고, 숙박·음식점업(162만원)이 가장 낮음.
ㅇ 교육서비스업(-0.7%), 숙박․음식점업(-0.6)은 전년 대비 감소함.
<금융·보험업(10.0%)에서 전년 대비 평균소득 증가율이 가장 높았으며, 공공행정(8.9%)과 전문·과학·기술(8.6%)의 평균소득도 크게 증가함.>
3. 근로자 특성별 소득
□ (성별 평균소득) 남자(389만원)가 여자(256만원)의 1.5배이며, 전년 대비 남자 17만원(4.7%), 여자 9만원(3.7%) 증가함.
◇ 남자는 40대(478만원), 여자는 30대(318만원)에서 평균소득이 가장 높음. ◇ 성별 평균소득 차이는 50대(211만원)에서 가장 큼. □ 남자는 40대(478만원), 50대(472만원), 30대(389만원) 순으로 평균소득이 높고, 여자는 30대(318만원), 40대(316만원), 50대(262만원) 순임. □ 성별 평균소득의 차이는 50대(211만원)에서 가장 크고, 40대(162만원), 60세 이상(138만원), 30대(71만원) 순임. |
□ (연령대별 평균소득) 40대(414만원), 50대(388만원), 30대(361만원) 순이며, 전년 대비 40대는 21만원(5.2%), 30대는 17만원(4.8%) 증가함.
<19세 이하를 제외한 연령층에서 평균소득이 전년 대비 증가했고, 40대(5.2%), 30대(4.8%), 20대(4.8%) 순으로 증가율이 높음.>
□ (근속기간별 평균소득) 근속기간이 길수록 소득이 높았으며, 전년 대비 증감률은 1년~2년 미만(4.7%)에서 가장 크게 증가함.
정리.
1.) 평균연봉(소득현황)
즉, 2021년 직장인 평균소득은 1달 333만원이다.
(말 그대로 고액연봉자부터 기초생활수급자까지 모든 직장인들의 연봉의 평균값일 뿐.)
년도 | 소득(만원) | 중위소득 분포(%) | |||
평균소득 | 중위소득 | 중위소득의 50%미만 | 중위소득의 50%이상 ~ 150%미만 | 중위소득의 150% 이상 | |
2019 | 309 | 234 | 20.1 | 50.4 | 29.6 |
2020 | 320 | 242 | 19.9 | 50.7 | 29.4 |
2021 | 333 | 250 | 20.0 | 50.5 | 29.5 |
2.) 조직형태별 소득
3. 기업규모별 소득
대기업의 평균소득은 563만원, 반면에 중소기업 평균소득은 266만원 / 비영리기업의 평균소득은 335만원
(대기업, 비영리기업 평균소득 > 직장인 평균소득 > 중소기업 평균소득)
*소득기준계산기로 2023년 자신의 중위소득을 알아보자.
2023년 기준 중위소득표와 소득인정액, 모의계산기
최신 기준 중위소득에 따른 가구당 복지 정책 및 기초생활 수급자 소득인정액 계산 방법, 소득인정액 모의계산기 등
angelsitter.co.kr
유튜브에서 오분순삭 무한상사를 다시보는중, 과연 '직장인들의 평균연봉은 얼마일까?' 문득 떠올라 이렇게 포스팅까지 하게 되었다. 힘든 직장생활 하시는 분들 힘내시기 바랍니다.
'생활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스포츠 심리학 (4) | 2023.05.11 |
---|---|
쿠팡 사상최대 1분기 매출 7조 달성!(쿠팡 주가 상승할까?) (0) | 2023.05.10 |
제52회 전국소년체육대회 개최(5월 27일~30일, 울산광역시) (1) | 2023.05.09 |
지원한도 상향! 3천만원에서 5천만원으로. 재난적의료비 지원사업 알아보기 (1) | 2023.05.08 |
2023년 5월~7월 날씨 전망(엘리뇨, 여름날씨, 기온, 강수량, 기상청 전망) (0) | 2023.05.08 |
댓글